자료 모든 자료입니다.

(6)  시민으로서 글쓰기. 사회운동 참여자/활동가로서의 글쓰기...   아래 링크의 내용은 사회에 관심을 갖는 시민이나 활동가에게도 적용될수 있을 거 같습니다. 1)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적으며  생각과 문제의식을 정리하고 2) 그 속에서 중요한 질문을 정식화하여 그 주제를 가지고 다시 글쓰기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한 글쓰기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3) 그 다음이 학술적...

1개의 댓글

“ 정리되지 않은 자료의 나열이나 장황한 묘사만으로는 훌륭한 연구가 될 수 없다. 방광에 아무리 액체가 가득해도 갈증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처럼, 자료가 아무리 가득해도 엉뚱한 위치에 놓여 있다면 지적 호기심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어떻게 하면 집적된 자료에게 제 위치를 찾아 줄 수 있을까? 그 자료 연구가 답이라면 문제는 무엇인지를 물어야 한다. 연구 질문(re...

(8) 가장 좋은 글쓰기의 재료는 필자의 경험이 아닐지요.  기억발전소에서 필자의 경험을 떠올리고 정리할수 있는 “워크북”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ㅡㅡㅡ 오늘도 기억발전소의 문은 열려있습니다. 열린 공간답게 기억발전소의 활동과 소장자료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합니다. 2013년부터 기억발전소가 진행해온 사진자서전 프로그램 '기억의 지도'의 노하우...

1개의 댓글

희망제작소 의 2018년 연구와 사업을 담은 연례보고서가 나왔습니다. 희망제작소가 궁금하다면 바로 클릭! ▶ https://www.makehope.org/category/activity/annual-reports/

“ 수천년 계속된 가짜뉴스에 대응법은 두 가지다. 더 큰 가짜뉴스를 만들어 기존의 가짜뉴스를 덮거나 사실을 솔직히 인정하는 거다. 전자는 대부분 권력자들이 애용했다. ... 뉴욕타임스는 후자를 택했다. 뉴욕타임스는 2016년 52년만에 제노비스 오보를 인정하는 사과기사를 실었다. 그러나 아직도 뉴욕타임스가 해야 할 사과기사는 많이 남아 있다. “ https://n....

1개의 댓글

외로운 페북지기이자, 홍보꾼 여러분들 올해 홍보하실 때 여전히 페북을 다른 SNS보다 1순위로 두시나요?  개인적으로 저는 정체를 알 수 없는 페북 알고리즘, 데이터의 상업화, 페북의 비밀스러운 실험.. 등으로 살짝 뜸하게 쓰고 있는데요. 그래서 그런지 다른 플랫폼을 더욱 적극적으로 쓰는건 어떨까..하는 생각도 들어요. (그렇지만 여전히 유용한 정보가 도는 페북을 끊을 ...

[국제 컨퍼런스_아시아의 청년들, 도시 삶의 연구자가 되다_기사 공유]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514699 '공부도 하고, 시민운동도 하는 나...비정상인가요?'👅💩👽   비용에서부터 연구 자원 확보, 전문가 네트워킹까지 모든 부분을 홀로 책임지고 만들어 나가야만 하는 파편화 된 사회적 기...

(9-3) 질적 연구 방법론 관련   한국행정연구원에서 발행하는 조사연구 정기간행물 “KIPA 조사포럼” 27호에 저의 짧은 원고가 실렸습니다.  조사기법 소개 ㆍ질적 연구에서의 해석과 코딩 (이재성) KIPA조사포럼(27호) "정책과정 강화를 위한 질적자료 활용" / 한국행전연구원 사회조사센터

3개의 댓글

서울대 종교학과 배철현 교수의 표절 문제가 보도되었습니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117038&ref=D 대학과 대학원에서 연구 윤리의 중요성을 잘 가르치지 않습니다. 나가아 대학원에서는 공공연하게 대필 논문으로 학위를 주기도 합니다.  이번 사건은 '신학서적 표절반대' 모임의 문제제기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고 합니...

(17) 자료 관리   글을 쓸 때 자료를 관리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집에 있는 책을 목록화하고 분류하는 어플이 있다고 합니다. 몇 가지 소개글을 링크해 봅니다. 사진을 찍거나 ISBN 바코드를 찍으면 책 사진과 정보가 정리가 되네요.  리뷰를 남길 수 있는 메뉴도 있습니다.    1. 산책  https://brunch.co.kr/@fish-...

작년에 발행된 독립연구자 무크지.  여러 글도 있고 연구모임들 링트도 제공됩니다.    https://cairos.parti.xyz/posts/19709

“ 내가 사 먹는 음식 속에 재료값 빼고 임대료가 얼마나 포함돼 있는지 알고 싶다. 일상의 불로소득이 어떻게 평범한 사람들을 착취하고 있는지, 그런 통계를 누군가 개발해 봤으면 한다.  “ https://news.v.daum.net/v/20181227184940988

(9-5) 자료 분석 비문학 글쓰기 중에서 사회문제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할 때애는 자료 분석 과정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기초적인 자료 분석 방법을 잘 알고 있다면 보고서를 작성할 때 더 쉽고 효과적으로 글을 쓸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 링크는 여러 분석 방법을 제공하고 있는 싸이트 입니다.   http://lab.newsjel.ly/

인터뷰를 해서 기사를 쓰거나 보고서를 쓰거나 마찬가지 입니다. 따옴표 치고 받아쓰기만 해서는 곤란합니다. 또한 그런 기사나 자료를 2차로 받아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변상욱] 세 가지가 빠진 거죠. 이언주 의원이 인터뷰를 하면 그 자리에서 ①기자들이 ‘우리를 불러놓고 이걸 설명하는 이유가 뭐냐? 이게 무슨 의미를 갖는 거냐? 우리 정치사에서, 우리 한국의 지금...

“ 대형 항공기 사고가 날 때마다 등장하는 ‘통계적 사실’이 있다. “그래도 비행기가 교통수단 중 가장 안전하다. 비행기가 위험하다는 것은 한꺼번에 대량 사망자가 발생하는 데 따른 착시일 뿐이다.” 상식의 허를 찌르는 의외성에 눈길이 가지만,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 기준을 여행 거리로 놓으면 맞다. 비행기 사고 사망자는 10억㎞당 0.05명으로 버스·기차·선박·자동차보다 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