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모든 자료입니다.

2020년 11월부터 이곳의 이름을 '사회운동과 글쓰기'에서 '비평과 메뉴얼'로 변경하였습니다.     저는 인천 남동구 만수동에 '생활문화공간 아토'라는 일을 새로 시작하였습니다.  아토의 일들에 대해서는 블로그를 참조해 주세요.   https://www.calico.kr/   저는 지역에서 주민으로 살면서 마을만들기와 도시재생, 그리고 풀뿌리민주주의...

인문360    " 인문360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만든 온라인 인문 플랫폼입니다. 삶과 밀접한 주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며 누구나 쉽게 누릴 수 있는 다채로운 인문 콘텐츠를 온라인에 연재하고 있습니다. 인문360 웹사이트에서 다양한 인문 콘텐츠와 인문 정보를 만나보세요! "   https://inmun360.culture.go.kr...

박주용 교수의 글쓰기 책 [생각은 어떻게 글이 되는가]. 쌤앤파커스. 2020.    '세바시'에서 본인 수업 글쓰기 교육에 대해서 설명하는 동영상 "배운만큼 생각하게 하는 교육"    위 책 내용을 6차례에 걸쳐서 요약해 놓은 블로그 "나를 위한 하루 한달" [한달서평]      글쓰기 모임을 시작해 보려는 시점에서... 과연 다른 경로로 ...

네이버는 "이제 이용자들은 검색 결과와 뉴스 기사를 확인할 때 작성자가 누구인지도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고 있다"며 "이용자들이 검색 결과를 소비할 때 신뢰도 있는 출처의 정보를 중요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출처 강조는 검색 신뢰성을 회복하기 위한 네이버의 노력으로 풀이된다.   최근 시청자 몰래 업체로부터 광고·협찬을 받아 입길에 오른 일...

글쓰기는 재능이나 기술 이전에 먼저 좋은 생각과 따뜻한 마음의 문제가 아닐런지요.   https://news.v.daum.net/v/20200824160742633

 한국의 언론자유지수는 2016년 세계 70위에서 올해 41위까지 수직 상승했는데도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세계 38개국을 대상으로 매년 하는 언론 신뢰도 조사에선 4년 연속 20%대로 최하위를 면치 못하고 있는 현실에 언론계는 답해야 할 책임이 있다.   뉴스는 하루 6만건이나 쏟아진다지만 읽어볼 가치가 있는 것은 몇 안 되고 재탕 삼탕의 쓰레기만 계속 쌓이는 형편이...

3개의 댓글

"투박한 글이라도 좋습니다.”    제가 ‘일터에서 온 소식’ 원고를 청탁하면서 덧붙이는 말이에요. 노동자들 대부분은 글쓰기를 무척 어렵게 생각하거든요. 글 쓸 시간도 부족하지만 중노동에 시달리기도 하고, 노조 활동하는 사람들은 회사의 부당함에 맞서 투쟁도 해야 하니까요. 하지만 생생한 일터 이야기는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한테서만 나옵니다. 이렇게 또 한 달 마감을 ...

새로운 진보에겐 절대적 내 편과 네 편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은 서초동 집회와 광화문 집회 어느 쪽에 섰느냐로 한 사람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것에 분개한다. “조국 장관 임명에 반대하지만 공수처를 지지할 수도 있고, 공수처에 반대하지만 검찰개혁에 찬성할 수도 있는데” 왜 서초동 대 광화문, 민주당 대 통합당의 이분법으로만 사람을 재단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한다. 불안정노...

8월 말 경부터 온라인/오프라인 글쓰기 모임을 해보려 하는데요. 모임을 할 공간을 거의 다 정리했습니다.    모임을 하는 사람들끼리, 재료비만으로 간단한 식사를 만들어 먹을 수 있습니다. 차나 음료 정도는 제공할 수 있습니다. 뒷산에 산책도 가능합니다.    고양이는 동네 고양이인데 점점 친해지는 중입니다.   편안한 대화, 하지만 유익한 토론. 그리고 ...

사회운동에 대한 글로 소통이 이뤄지는 웹싸이트 링크 모음   지역 시민신문/시민사회단체 홈페이지 등  - 부천시민신문 -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 인천in  -    플랜B  http://nowplanb.kr/   시민사회활동가 대나무숲  https://www.facebook.com/activistsomewhere/   시민사회신...

2개의 댓글

[기획논문] 플랫폼 노동과 디지털 노동수기┃이재성(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 연구위원)       Ⅰ. 서론 Ⅱ. 기업 광고와 언론 보도 담론의 형식과 논리 1. 배민 커넥트 광고 담론과 논증 구조 2. 보수와 진보 언론의 담론과 논증 구조 Ⅲ‘. 투잡’ 배달 노동 수기의 형식과 논리 1‘. 직장인 투잡연구소’: 부업 관리의 담화 2‘...

2개의 댓글

이 기사는 이준환 서울대 교수가 개발한 기사작성 인공지능(AI)에 의해 작성됐다. 세계일보는 2018년 ‘인공지능에 의한 일자리 위험 진단’ 보고서를 쓴 김건우 카카오모빌리티 데이터 이코노미스트(당시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로부터 423개 직업의 대체 확률 원본 자료를 받아 AI에게 넘겼다. AI는 자기 때문에 사라질 운명에 처한 인간의 직업에 대해 보란 듯이 기사를 써냈...

[허브소식] 2020 청년허브 공모형 연구 : 청년, 자기 삶의 연구자가 되다   서울시 청년허브의 공모연구 사업을 시작합니다.  2020년은 지정주제를 선정하고, 자유주제도 함께 공모합니다. 500만원 내외로 지원하며 연구자문 워크숍 및 보고서 제작도 지원합니다. 청년 연구자, 활동가, 연구활동가들이 생산하는 지식을 공공의 장으로 확장시킵니다. 지금 발 딛고 있는 도시 서울에...

'필터 버블' 문제와 '확증 편향'의 위험에 대한 다양한 경고들이 있습니다. 우리가 무엇이 문제인지 알면서도 잘 극복이 안 되는 분야가 있는데요, 이것도 마찬가지인거 같습니다. 쉬운 거 같지만 어렵습니다.    학생들에게 한 학기 내내 다양한 견해와 자료를 검토하고 나서, 본인의 비평적 관점을 세우고, 비평문을 작성하라는 과제를 내 주는데요... 제출되는 대부분의 과제는...

https://www.facebook.com/432356110301062/posts/1285476714988993/       📌<세상을 바꾸는 캠페이너>는 미국 캔자스대학의 ‘커뮤니티 툴박스’를 와글이 개발한 캠페인의 7단계 전략으로 구성하고 한국의 현실에 맞게 각색한 책이예요. 이제 막 활동을 시작하거나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혁신을 위해 일하고 있는 활동가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