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모든 자료입니다.

□ 공모 개요   https://idph.kr/board/board.php   • 주제 : 인천5.3 민주항쟁과 한국의 민주주의( 가제)   • 행사 취지: 인천5.3 민주항쟁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를 촉진하고, 인천에서 전개된 민주항쟁의 현재적 의미를 탐구하며, 그 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 대상 : 공모 주...

2021년에 남동구 평생학습관에서 글쓰기 강좌를 진행했습니다.   “도시의 삶과 글쓰기”라는 이름으로 상반기와 하반기에 나누어 에세이와 비평문을 작성하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수강생 분들이 글을 다 잘 쓰시는 분들이라 ㅎ 좋은 글이 많이 나와서 평생학습관에서 미니 문집을 만들어 주셨어요~^^   시민의 글쓰기... 특히 시민사회 활동가들의 글쓰기 문제를 고민하...

시민이 직접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합니다. 온갖문제연구소 시민연구가 마무리되었습니다. 총 42건의 제안 중 2건의 연구사업을 지원했는데요. 희망제작소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연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makehope.org/ https://lab.makehope.org/   #온갖문제연구 #시민연구자 #시민연구 #사회혁신 #...

1개의 댓글

소속기관이 없는 100명의 독립 연구자님께 논문 100편의 이용 권한을 무료로 드립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신청하러가기👉 https://www.dbpia.co.kr/event/rs/moveToRsIntro

◆2021년 작은연구 희망플랜◆    현장연구 지원사업 공모 누구나 2인 이상 정책제안 하시면 채택시 600만원 연구비를 지원해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 클릭! ▼▼▼▼▼▼▼▼▼▼▼▼▼ http://www.bcnsj.org/bucheonnosa_web/web_html/Comm/bbsnoticView.php?s_kind=&f_page=&s_keyword=&f_num=149

인천 남동구 평생학습관에 글쓰기 강좌를 열었습니다.  인천 시민단체인 마중물에서 기획한 강좌 중 한 부분입니다.    상반기는 에세이 쓰기, 하반기에는 비평문 쓰기입니다.    https://www.namdong.go.kr/lll/enrolment/all.jsp

안녕하세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입니다.       민주화운동과 민주주의 관련 학술연구를 활성화하고자   ‘ 학술논문 지원 사업’ 을 공모하오니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연구소 홈페이지( https://ikd.kdemo.or.kr/) 공지사항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첨부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서 #서평단 을 모집합니다. 책 읽고, 글 쓰고, 선물도 받아가세요 🥳   ✔서평단 모집 자세히 보기: https://www.kdemo.or.kr/communication/join/page/1/post/28

나는 공부의 핵심은 “쓰기”라고 생각한다. 외국어 공부에서도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중 쓰기가 가장 어렵다.   쓰기가 최고의 공부이자 지식 생산 방법인 이유는, 쓰는 과정에서 모르는 것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쓰기와 실험 외에 모르는 것을 아는 방법은 많지 않다. 생각과 읽기가 공부의 주요 수단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렇지 않다.    ...   ...

한국행정연구원에서 발간하는 [KIPA조사포럼]에서 아래와 같은 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kipa.re.kr/site/kipa/research/selectPublishView.do?gubun=KI&pblcteId=PUBL_000000000000572   - 사회조사의 역사와 발전: 초연결사회에서 사회조사의 전망   - 초연결시대의 ...

1개의 댓글

한겨레에서 20여 년 넘게 기자로 살았던 안수찬 전 한겨레21 편집장이 고려대에서 ‘저널리즘의 새로운 과거와 오래된 미래, 복제 보도와 원천 보도’란 제목의 박사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은 국내 언론의 문제를 해석하기 위해 ‘복제 보도’와 ‘원천 보도’ 개념을 제시하며 “복제 보도에 기울어진 관행이 기자 전문직주의를 침식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원천성을 전반적으로 높여야 하고 ...

<비평과 매뉴얼>은 2020년 하반기부터 인천의 동네를 중심으로 마을만들기 관련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글쓰기' 관련 활동을 지역 수준에서 꾸준하게 진행되는 주민들의 학습의 장으로 운영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에 몇몇 주민들과 <2020년 저층주거지 주거환경개선 아이디어 공모전>에 경험삼아 응모를 해보기로 했고, 함께 서류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3개의 댓글

소설가 장강명의 연재 <책 한번 써 봅시다> - 한겨레 토요판 격주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14667.html   연재 [토요판] 장강명의 책 한번 써봅시다 욕먹어야 한다면, 정확한 욕을 먹기 위해 애쓰자 납작한 활자를 입체 카드로…생생한 글의 6가지 비밀 논픽션의 주인공, 현장을 가졌거...

논란의 당사자들은 “옛날엔 그게 관행이었다”는 식으로 자신을 변호하곤 한다.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나 표현을 무단으로 사용하는 표절이 관행이던 시대가 있었을까. 표절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을 때 유야무야 넘어간 논문들이 있었겠지만, 표절 그 자체가 정당화되긴 어렵다.   이인재 대학연구윤리협의회 사무총장(서울교대 윤리교육과 교수)은 “‘인용법을 잘 몰랐다’ ‘주석을 ...

깊어가는 가을, 한 스승에게 글쓰기를 배운 세 명의 90년대생 작가들이 나란히 책을 냈다. 경향신문에 연재한 글을 엮고 더한 이슬아의 <부지런한 사랑>(문학동네), 네덜란드에서 영화를 배우며 경계를 확장해나간 이야기를 펴낸 이길보라의 <해보지 않으면 알 수 없어서>(문학동네), 원인 모를 만성질환과 만성질환에 대해 무지한 사회 속에서 고통과 더불어 사는 삶을 이야기한 이다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