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모든 자료입니다.

4년전 오늘.  http://seethrough.tistory.com/m/32 결과를 알고 다시 읽으니 새롭네요.

“ <요즘 우리말께서는 안녕하신가요?>라는 책을 낸 이우기 경상대 홍보실장은 "'노인'이라고 하면 비하하는 의미로 여기고 '실버'라고 해야 대접받는 느낌을 받는다고 인식한다"며, "이혼해서 혼자 아이를 키우는 엄마 아빠라는 의미를 감추려는 의도로 '싱글'이란 말을 쓰는 것 같다"고 풀이했다. “ http://v.media.daum.net/v/otiXOVRqRi

전 요거 신청했는데 오시는 분 있나요?  페이스북 커뮤니티 커넥트 페이스북에서 흥미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가지고 한국 커뮤니티와 직접 만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오큘러스의 다양한 제품과 최신 기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체험부스가 제공되며, 여러분의 일상을 즐겁고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는 방법도 ...

2개의 댓글

작가 은유의 글쓰기 (다음 카페) 메타포라 http://cafe.daum.net/metaphorbook/XAww   대표작: [글쓰기 최전선], [쓰기의 말들] 등 글 쓰는 사람. 일하는 사람들이 글을 써야 세상이 좋아진다는 믿음으로 여기저기 글쓰기를 전파하러 다닌다. 삶의 경험에 기반해 자기 언어를 만드는 논픽션 글쓰기를 주로 다룬다. 성폭력 · 가정폭...

1개의 댓글

“ 세계일보는 우리들이 매일 ‘전쟁 같은 삶’을 살아가게 하는 부조리한 실체를 찾아가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보도는 직장인들의 ‘온라인 해우소’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는 시민단체 ‘직장갑질 119’와 공동기획으로 이뤄진 것입니다. “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2&sid2=257&oid=022&aid=00032...

1개의 댓글

" 그는 2015년 메르스 사태 때 “내 환자를 끝까지 지키겠다”는 ‘간호사의 편지’로 세상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 <중앙일보> 1면에 크게 실린 김 간호사의 글에 국민은 감동했다. 메르스 첫 사망자가 나와 사면초가에 몰려 있던 병원은 반색했다. 그에게 승진까지 제안했단다. “제가 승진 대신 간호사 처우 개선을 해달라고 얘기했죠. (병원 쪽은) 제 말을 들으려고도 하지 않았...

'데알못'의 데이터/마케팅 스타디 안녕하세요? 고독한 페북지기분들. 저커버그가 괘씸하지만 페북을 여러 이유(개인/조직의 활동 기록/뉴스 보기)로 끊지 못하고 있네요. 어쨌든 우리는 홍보를 할 것이기에.... 같이 데이터 공부할 사람 있나 돌 던져보러 나왔습니다. 별거 없고, 집에 사놓은 이런 책들 읽고 summary나, 생각나누고, 실전에 적용해보기. 혹 같이 하는 사람...

3개의 댓글

https://www.facebook.com/activistsomewhere/posts/422781968134412 '시민사회활동가 대나무숲' 과 '참여연대 노동조합'이 준비한 "우리는 어떻게 시민사회에 있을 수 있을까, 이을 수 있을까? : 2-30대 청년활동가 편" ▶신청하기: https://bit.ly/2H5HGzL 안녕하세요, 시민사회활동가대나무숲 운영자입니다....

(9-1) 질적 연구 방법론 교재    글을 쓰고 어떤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논증'이라는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바람직한 논증의 절차에 대해 고민하는 분야가 '방법론'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제가 공동 필자로 참여한 질적연구 방법론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저는 '현상학과 해석학의 방법론'이라는 챕터를 맡아 글을 써 보았습니다. 무엇인가를 '이해'한다는 것이 무...

최근에 본 기사인데 공감이 되네요. 근데 무려 작년에 나왔던 연구로군요. 우리가 다른 사람과 이야기할 땐 여러가지를 조심해야 하는 거 같아요. http://m.khan.co.kr/view.html?artid=201702172136015&code=940601&utm_campaign=share_btn_click&utm_source=facebook&utm_medium=soci...

KBS에서 작년부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시리즈를 방영하고 있습니다. (링크 참조) 이 방송 내용 중에 '창의성 교육'이나 대안적인 교육의 방향 등은 모두 '글쓰기'와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 특히 어제 방영된 방송("배움은 놀이다 2부 - 학교는 왜 가니") 중에서 생활 속의 구체적인 해결 과제를 발견하고 이를 함께 풀어나가는 과정을 훈련하는 교육이 소...

https://brunch.co.kr/@ourlove/120 [타운홀-하다 : 반대편의 목소리를 듣는다는 것] 빠띠는 바꿈, 세상을 바꾸는 꿈 과 함께 2018 정책배틀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책배틀은 이슈가 되는 사안에 대해 정반대의 견해를 가진 두 명의 패널을 초대해 이야기를 듣고 청중들과 함께 토론을 해보는 프로그램입니다. 첫번째 주제는 모병제vs징병제, 두 번째 주제는 ...

1개의 댓글

https://m.blog.naver.com/9065031/221185532256 " 논문을 쓰는 이유는 제 나름대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생각하는 논리나 방식에 대한 훈련의 의미가 있습니다. 실제 논문은 그 결과가 어쩠냐 보다는 얼마나 참신한 연구문제를 제기하고,  연구자가 나름의 논리로 전개하는지를 보는데 그 의의가 있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생각하는 방식,  ...

“가이세이 중등교육학교에서는 정규 교과과정에서 소논문 활동을 하여 세계적인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는 예비 과학자들을 길러낸다. 교수, 대학원생(연구원), 기업체 연구원, 공무원, 시민단체(NGO) 관계자 등 외부 인력을 활용하여 수준 높은 소논문을 작성하도록 도와준다. ” http://v.media.daum.net/v/20180209094204356?f=m&dmp_channel...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에서 대학원생 여러분의 사연을 기다립니다. 대학원 생활 중, 인권/노동권 관련 부당한 대우를 경험하신 분들께서는 대학원생노조에 익명 혹은 실명으로 사연을 제보해 주세요. 보내주신 사례를 바탕으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 사연 보내주실 곳 : 메일 - graduunion@gmail.com 카톡플러스친구 -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 . ※ 대학원생노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