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모든 자료입니다.

한도시 한달살기 저도 한번 해봤습니다. 다녀온 도시들을 열거하면 아래와 같군요. 가장 최근 다녀온 도시 순입니다. - 터키. 이스탄불 (1/2달) - 루마니아. 부카레스트 (1달) - 독일. 베를린 (3달) - 모로코. 마라케쉬 (2달) - 태국, 치앙마이 (1달) - 인도네시아, 발리 (1달) - 인도, 오로빌 (2달) 노마드로 돌아다녔던, 저의 기록을 '나의 집은 어디인가...

6개의 댓글

아래 질문 관련하여, 뭐니뭐니해도. 노마드리스트를 아직까지 잘 애용하고있습니다. 세계 다양한 도시들을 여러가지 지수로 ( 물가, 안전, 인터넷스피드, 날씨, 언어, 등등등) 잘 다림질해서 알려주죠.  현재 1위는 ..부다페스트..(오잉?) 2위는 프라하, 3위는 치앙마이 (!!!) 입니다. 원래 치앙마이가 부동의 1위였는데 왜 바뀐걸까요. 아마도 국왕 서거때문이 아닐까. ㅎㅎㅎ...

이런곳이 있네용? -0-?

1개의 댓글

"나는 왜 불만이 많을까"를 비롯해 여러가지로 고민 많던 20대 중반에 열심히 읽었던 책을 쓰신 분이네요. 꼼꼼히 기사를 읽어보려 합니다.

3개의 댓글

7월 7일은 도로의 날입니다 ! 사진이 인상적이네요.

안두희

정의당의 이벤트. “5분 분량의 연설 동영상” 경연. (이그나이트 ignite 라는 명칭) 상금은 최대 100만원. [대통령의 글쓰기]의 저자 강원국 씨는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를 강조하면서 앞의 두 개는 ‘입력’을 위해, 뒤의 두 개는 ‘출력’을 위해 배우는 것이라 하였습니다. 연설을 잘 하려면 우선 ‘연설문’을 써야 겠네요. ^^ https://www.faceboo...

굉장한 '스파르타식'(?) 글쓰기 프로그램이 있어서 링크합니다.  "  혼자 꾸준히 쓰는 것은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닙니다. 처음엔 의욕에 넘쳐 열심히 쓰지만 이내 벽에 부딪쳐 좌절하다가 포기해버립니다. 글감 부족, 자기 검열 등 저마다 이유도 다양합니다. 이 장벽을 극복하는 묘안은 없을까요? 여기 그 대안이 있습니다. 바로 온라인 <100일 글쓰기>입니다. 글을 쓰고 싶은 ...

" 그때서야 김민섭 작가는 김동식이 주물공장 노동자라는 걸 알았다. 여러 사정으로 중학교 졸업 뒤 검정고시로 고등학교 과정을 마쳤다. 2006년 부산을 떠나 서울 성수동에서 10여년을 공장노동자로 살았다. 기묘한 우화 느낌이 드는 작품들에서 현대사회 관료주의와 노동의 냄새가 짙게 배어 나온다. 정작 김 작가는 “게시판에서 재미있다고 칭찬받고 댓글 많이 달리는 재미 때문에 열심히...

강원국 씨의 재미있는 글쓰기 조언.. 그리고 책광고입니다. ㅎ  https://www.facebook.com/medicimedia/videos/1731771966945459/

“ 하버드대의 글쓰기 교육은 혹독하기로 유명하다. 신입생 전원이 입문 과정인 ‘논증적 글쓰기 10’과 고급 과정인 ‘논증적 글쓰기 20’ 중 하나를 이수해야 한다. 그런 다음 심화 과정으로 넘어간다. 한 반 수강생은 15명. 학생들을 꼼꼼하게 지도하기 위해 소수정예를 고집한다. 1872년부터 147년째 이어오는 전통이다. “ https://news.naver.com/ma...

[공유회] 시민사회가 지켜야 할 공동의 가이드 더 이음이 서울시NPO지원센터와 3년 간 진행한 공익활동가포럼이 이제 시민사회 조직문화를 위한 안내서라는 결과물로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 가이드라인이 활동가들과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시민사회 조직 내부를 되돌아보며 더 나은 시민사회로 나아가는 길에 작은 계기를 마련해주는 좋은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11월 1...

" ‘정치하는 엄마들’은 <한겨레> 토요판에서 태어났다. 지난해 3월25일, 장하나 전 의원은 <한겨레> 토요판에 ‘장하나의 엄마 정치’라는 제목의 연재를 시작했다. 딸 두리를 낳은 지 2년이 될 무렵이었다. 연재 첫회 ‘엄마들이여, 정치합시다!’란 제목의 글에서부터 그는 작정하고 ‘엄마 모임’에 시동을 걸었다. “정치에 여성(엄마)들이 나서야만 독박육아를 끝장내고 평등하고...

비평이나 에세이 등도 공모대회가 있습니다. 최근 알게 된 방송문화진흥회 비평대회는 매년 열리고 상금도 있네요. 올해는 기간이 지났습니다.  http://www.fbc.or.kr/business/award " 21회 좋은 방송을 위한 시민의 비평상 안내 방송문화진흥회는 시민의 비평상을 통해 대한민국 방송의 발전과 시청자...

[2018 비영리 미디어 컨퍼런스 체인지온@미디토리] 강연4. 활동가의 글쓰기 글을 쓰는 것은 가장 경제적인 예술이다. 펜만 있으면 되니깐. 첫 문장부터 작품처럼 꼭 멋져야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라. 글쓰기는 무조건 연습이다. 글쓰기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건 훈련이다. 하루에 한 문장씩도 좋다. 활동가에게 글쓰기의 목표는 자기객관화이다. 작년에 믿었던 신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