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논문] 플랫폼 노동과 디지털 노동수기┃이재성(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 연구위원)

     

     

     

    Ⅰ. 서론
    Ⅱ. 기업 광고와 언론 보도 담론의 형식과 논리
    1. 배민 커넥트 광고 담론과 논증 구조
    2. 보수와 진보 언론의 담론과 논증 구조
    Ⅲ‘. 투잡’ 배달 노동 수기의 형식과 논리
    1‘. 직장인 투잡연구소’: 부업 관리의 담화
    2‘. 파란 모래시계’: 검증과 소통의 담화
    Ⅳ. 플랫폼 노동 담론:‘ 투잡’과 배달 노동의 의미
    1. 수익성 : 현실 적응과 미래의 준비
    2. 관계성 : 배달노동의 의미와 인정의 요구
    Ⅴ. 결론

     

     

  •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플랫폼 노동 담론에서 간과되고 있는 ‘투잡’ 노동자들을 그 자신들의 기록을 통해 이해하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에 노동자들은 인터넷에 체험기를 올리고 있으며, 이는 플랫폼 노동과 함께 등장한 새로운 현상이다. 비판적 담론 분석의 결과는 첫째, 디지털 노동수기는 수익성이 결합된 새로운 멀티미디어적 노동 기록의 하나이다. 둘째, 플랫폼 노동에 대한 거시적 담론은 전업 노동자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한계가 있다. 셋째, ‘투잡’ 플랫폼 노동이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필수적 조건이 되는 가운데 미시적 담화 속에서 ‘수익성’과 ‘관계성’이강조되고 있다. 넷째, 디지털 시대의 노동의 가치와 그 의미에 대한 연구 및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질적 사례연구로서 투잡 플랫폼 노동에 대한 산업 및 노동시장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진행되었기에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다

     

인천연구원
인천연구원
WWW.II.RE.KR 원글보기
이욱
작년 11월 경에 원고 청탁을 받고.. 3월까지 간단한 초고를 써서 발표회를 한 번 하고.. 다시 5월까지 논문 초고를 써서 심사를 받고... 마지막으로 6월 초까지 심사 내용을 수용하여 보완하고...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하나의 논문이 완성이 되었습니다. 여전히 부족하지만... 최소한의 요건을 갖추고, 나름대로의 의미를 찾으면... 그것으로도 충분하다고 자평합니다.
제 글에 대해 그렇게 말하니 이상하지만... 글에 너무 높은 기준을 설정하면... 필자가 너무 힘이 듭니다. ^^ 서로에게 약간은 관대하게... 한 사람의 필자에게 너무 많은 부담을 지우지 않는 것이 좋지 않나.. 생각합니다.
아무튼 6개월에 글 한편... 이라는 것을 생각하고 있는데.. 주변에서 너무 힘든거 아니냐는 반응이 많네요... ^^
시스
@이욱 잘 읽어보겠습니다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