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론은 취재원과 거리를 둘 수 있어야 한다. 강하게 비판할 수 없더라도, 취재원 주장에 이견을 다루는 정도는 가능하다.

"

 

"정대협 30년, 언론의 비상경보가 꺼졌다" 라는 <미디어 오늘> 기사 중간에 나오는 문구입니다.

 

사회비평은 비평 대상과 거리감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적절한 비평적 거리를 유지해야만 사회를 위한 비평자의 역할을 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진보 언론은 보수 언론이 강조하는 부분에 대해 충분히 검토를 해야 하며, 보수 언론도 진보 언론에 대해서 마찬가지의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 그래야 사회적으로 생산적인 토론이 가능하고 민주적인 공론장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정파에 치우쳐 비평을 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이는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평으로 '정치 선전'의 차원에서 다뤄질 문제입니다. 

 

다만 언론기관(기자)이나 학술기관(연구자)이 정치 선전의 도구가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사회운동 단체의 경우는 어떨까요? 보통 사회운동은 자신들의 목적과 이념을 중심으로 사회를 변화시키고 문제를 해결하려 합니다. 그러다보면 자신들의 이념과 신념 자체의 문제점이나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들, 단체들과의 공존이라는 정치적 문제는 간과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사회운동 비평은 더욱 더 중요한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신념과 이념의 공존을 현실적으로 수용하는 '정치'의 영역보다, (종교의 영역과 유사하게) 자신의 신념과 이념을 전면화시키려는 '사회운동'의 영역에서 더 큰 독선과 오류가 드러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대협 30년, 언론의 비상경보가 꺼졌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현 정의기억연대)가 활동한 지 30년이 흘렀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씨와 인연도 한 세대가 지났다. 최근 사태는 하루이틀새 일이 아닌 해묵은 문제가 곪아 터진 쪽에 가깝다. ‘위안부’ ...
미디어오늘 원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