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시민으로서 글쓰기. 사회운동 참여자/활동가로서의 글쓰기...

 

아래 링크의 내용은 사회에 관심을 갖는 시민이나 활동가에게도 적용될수 있을 거 같습니다. 1)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적으며  생각과 문제의식을 정리하고 2) 그 속에서 중요한 질문을 정식화하여 그 주제를 가지고 다시 글쓰기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한 글쓰기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3) 그 다음이 학술적 글쓰기로 발전해 나가는 것이 아닐까요.

 

본인의 비평이나 연구보고서가 어느 정도 성과가 있다고 하면 4) 짧은 기고문이나 5) 독자들에게 정보를 잔당하는 글 또는 6) 주장하는 글 등을 쓸 수 있겠지요. 

 

각 단계를 글의 형식으로 구분해 보면...

 

1) 에세이

2) 비평

3) 조사/연구

4) 칼럼

5) 설명문

6) 성명서

 

이렇게 정리해 보고 싶네요. 

 

https://brunch.co.kr/@isaacyouspace/128

글감은 이미 당신의 마음과 당신의 삶 속에 있다
우리가 연주하는 것은 인생이다. - 루이 암스트롱 손으로 글을 쓴다고요? 글을 쓸 재료가 없는데도요? 라고 질문할 수도 있겠다. 이 질문에 대해서 내가 자신 있게 말을 할 수 있는 것은 글감은 이미 당신의 마음과 삶 속에 있다...
BRUNCH 원글보기
이욱
글쓰기 수업을 하면서 느끼는 것은 ... 많은
필자들이 1) 본인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잘 구분하지 않고, 2) 그래서 진짜 탐구해야 할 중요한 질문을 정식화 하기도 전에 3) 다른 필자들의 주장 중 하나를 들어 자신의 주장을 확정해 버린 후, 4) 그 결론을 향해 “직진하는” 글을 쓰려 한다는 것입니다.
그 결과 글쓰기가 자신의 기존 주장이 단순히 반복될 뿐 스스로 생각이 확장되거나 깊어지는 기회가 되지 못하며, 자신의 생각과 반대되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의 소통의 수단이 되지도 못하게 됩니다. 글의 형식(장르)도 불명확해지고,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의 생각이 왜 옳고 그 근거는 분명한 것인지도 잘 확인이 안 된다는 것입니다. 하나의 글 안에는 다양한 글의 형식이 종합될수 있습니다. (에세이 요소 + 비평 요소 + 연구 요소 혼합이 됩니다.) 하지만 글의 목적에 맞게 중요한 형식은 하나로 분명해 져야 합니다. 그래야 필자가 글을 쓰는 방향, 톤, 내용, 수준 등이 잘 구성이 되고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글의 형식은 각각의 목적에 맞게 필자들이 신경을 써야 하는 요소들을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각 장르에 맞게 글을 쓰는 노력을 한다면 자연스럽게 글의 내용과 구성도 단단해 지게 됩니다. 그래서 하나의 주제에 대해 다양한 형식의 글을 쓰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